반응형
2024년 8월 초
저번 주 금요일은 Black Friday로 불릴 정도로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큰 하루 였다. 미, 한, 일 주식시장은 일제히 주가가 하락을 하였다. 주요 대형주, 중소형주 등 대부분의 주식은 하락을 면치 못 하였다.
그 이유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어보인다.
첫 번째, 샴의 법칙에 의하면, 미국이 경기침체기에 들었다는 것이다.
- 미국의 실업률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다시 상승하기를 반복하면서 실업률은 높아지고 물가는 잡히지 않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.
- 미국의 연준은 기준금리 인하을 0.25%정도를 2024년 09월에 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다. 하지만 이런 기준금리의 인하를 07월에 했어야 했는데 그 시점이 늦었다는 시각도 있다.
-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기존 투자자의 현금화는 몇 개월 전부터 있었다.
두 번째, 일본의 0.5%로 기준금리 인상.
-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기존 “앤 케리 트레이딩”을 하던 세력이 청산을 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.
- 앤 캐리 트레이딩 : 일본의 낮은 금리로 엔화를 빌려서 해외주식(미국, 일본, 한국 등)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투자방식
- 즉,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엔화 대출에 대한 이자 부담으로 기존에 투자하고 있던 자산(주식, 부동산 등)을 매각하여 수익 실현 함으로써, 해외 주식시장은 하락을 하였다는 것이다.
- 이를 “엔 캐리 트레이딩 청산"으로 표현하였다.
반응형